(macOS) Homebrew 설치
(Windows) WSL2 활성화 및 Ubuntu 20.04 구성
WSL (Windows Subsystem for Linux)
DISM (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)
> dism.exe /online /enable-feature /featurename:Microsoft-Windows-Subsystem-Linux /all /
norestart
> dism.exe /online /enable-feature /featurename:VirtualMachinePlatform /all /norestart
WSL 기능을 사용하려면 Windows 기능 활성화를 진행해야 합니다.
Powershell를 실행하고 DISM 명령어를 수행하여 필요한 기능을 활성화 합니다. 완료 후 재부팅합니다.
> wsl
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에 배포가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.
아래의 Microsoft Store에서 배포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.
<https://aka.ms/wslstore>
재부팅 후 Powershell에서 wsl 명령어를 실행해보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제 Ubuntu를 설치해 봅니다.
설치가 완료되면 계정 정보를 생성후 우분투 터미널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Powershell에서 wsl 명령어를 사용해보면 Ubuntu 20.04가 WSL 버전 1로 구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wsl -l -v
NAME STATE VERSION
* Ubuntu-20.04 Running 1
WSL버전을 1에서 2로 업데이트 합니다.
WSL2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를 철치를 진행합니다.
wsl --set-version Ubuntu-20.04 2
변환이 진행 중입니다. 몇 분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...
WSL 2와의 주요 차이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<https://aka.ms/wsl2를> 참조하세요
변환이 완료되었습니다.
PS C:\\Windows\\system32> wsl -l -v
NAME STATE VERSION
* Ubuntu-20.04 Stopped 2
기존 설치한 Ubuntu 20.04 LTS의 WSL 버전을 2로 변경합니다.
완료 후 wsl 명령어를 통해 Ubuntu를 다시 시작합니다.
PS C:\\Windows\\system32> wsl
To run a command as administrator (user "root"), use "sudo <command>".
See "man sudo_root" for details.
bkw1212@DESKTOP-OQGTUMG:/mnt/c/Windows/system32$
WSL에서 사용하는 버전을 기본으로 2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.
> wsl --set-default-version 2
WSL 2와의 주요 차이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<https://aka.ms/wsl2를> 참조하세요
작업을 완료했습니다.
윈도우 터미널 (Windows Terminal)
WSL 환경에서 작업을 할 예정이라면, cmd나 Powershell 보다 Windows Terminal을 추천합니다.
윈도우 터미널 상에서 WSL 우분투에 바로 접속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git 설치 (0) | 2022.07.20 |
---|---|
DevOps 엔지니어 성장 전략 (0) | 2022.07.04 |
DevOps 엔지니어 역할 (0) | 2022.07.03 |
DevOps 개요 (0) | 2022.06.29 |
댓글 영역